성과가 크지 않음에 실망하고 좌절해본 경험은 누구든지 한번쯤은 겪어보았을 듯 합니다.
그러한 그리 유쾌하지 않은 경험을 꾸준함으로 잘 극복할 수 있을 때 우리는 성장하는데 그러한 것을 일컬어 계단식 성장(Plateau Breakthrough)이라고 합니다.
알고 다시 돌이켜보면 그리 실망스러운 것도 좌절할 일도 아닌데 겪을 당시의 아픔은 상당한 충격일 수 있습니다.
내가 한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한다고 생각이 들 때 잠시 현재의 상태를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해서, 말 그대로 정석대로 학습을 하고 있다면 그리 실망하거나 좌절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꾸준한 노력을 하는 기간이 우리의 뇌가 적응하는 기간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신경학적 증명으로 알 수 있는데 뇌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때 "미엘린화(Myelination)"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미엘린화(Myelination)" 과정이란 신경섬유에 절연체(미엘린)가 감싸지게 되면 신호 전달 속도가 100배 빨라진다고 하는데 바로 그 과정을 일컫습니다.
이 과정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어느 순간 "갑자기" 문제가 풀리게 만듭니다.
학습곡선을 계단식 성장 모델에 적용시킨다면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표현할 수 있겠습니다.
노력 -> 정체(기다림) -> 도약 -> 새로운 평정 -> 노력 -> 정체(기다림) -> 도약 -> 새로운 평정 -> (반복) ...
위의 과정에서의 정체기는 뇌가 지식을 체화하는 필수 공정입니다.
정체기의 불안감으로 포기한다면 완성 직전의 조각품을 버리는 것과 같습니다.
모르긴 몰라도 자신이 경험한 "돌파의 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는 많습니다.
예를 들어 화장실에서 또는 잠들기 직전 갑자기 안풀리던 해답이 떠오른다거나 이렇게 해보면 어떨까 라고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감기몸살로 앓고 났는데 뭔가 선명해질 때도 있을 수 있습니다.
그 순간이 바로 "무의식적 유레카"로써 뇌의 기본회로(Basal Ganglia)가 자동화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또는 이전에는 못 보던 사소한 오타나 강사의 말실수 등이 보이거나 들릴 수 있는데 패턴 인식 능력이 업그레이드된 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전에는 확신하지 못하던 것들을 확신하기 시작하는 순간이 오는데 심리학적으로는 내재화(Internalization) 완료 증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도 끊임없이 일어나는 의심과 실망으로 정체기를 돌파하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체기 돌파를 위한 실전 전략을 다음과 같이 실천해보는 것을 어떨까 제시해 봅니다.
지금 당장은 버티는 것이 필요합니다.
첫째 "5% 법칙"을 실천해봅니다. 법칙은 간단합니다. 매일 자신이 설정한 시간에서 단 5분 더 비티기 연습을 하는 거죠. 뇌는 저항을 5분 버티면 포기한다고 하네요.
둘째 "정체기 기록장"을 작성해봅니다. 즉, 정체기에 학습한 내용을 문제수나 페이지 등 수치로 시각화보는 거죠. 나중에 도약 한 후 비교해 본다면 확신하고 자신감 있게 도전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거창하게 다른 기록장을 만들 필요없이 플래너의 한귀퉁이를 이용해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의 정체기는 당신의 뿌리가 깊어지는 소리입니다.
다음 계단은 이미 당신 발밑에 놓여 있습니다.
한 걸음만 더 내디디세요.
Harvard 학습연구소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70%의 돌파는 포기 72시간 전에 발생한다고 합니다.
사막에서 우물을 파는 이는 마지막 삽질 전까지는 물을 보지 못합니다.
하지만 그 삽질 하나하나가 물에 도달하는 필수 과정입니다.
포기 직전에 자신에게 물어보세요. "지금이 바로 그 '마지막 삽질'일까?"
연락처
- 041-575-0995, 010-5744-9997
- info@isparta.co.kr
- 평일 08:30 ~ 18:00
오시는 길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곡2길 8-3, 이화빌딩 5층
지하철
1호선 쌍용역 1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운영시간
평일: 08:30 ~ 다음날 새벽 01:00
주말/공휴일: 08:30 ~ 24:00
0 comments:
Post a Comment